본문 바로가기
공부방

수혈(Blood Transfusion) 목적 및 방법, 혈액종류

by 게으름뱅이침침 2019. 12. 22.

1. 목적

1) 질병이나 손상으로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2)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 성분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3)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수혈 혈액, 수혈 세트, 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생리식염수, 주사기, 전처치약(페니라민, 덱타메타손), 반창고, 18G Medicut, N/S 100ml fluid

 

3. 혈액의 종류

 

 

전혈(Whole Blood)

320-400ml/unit, CPDA-1 항응고제 함유, 1-6'C 냉장보관, 35일 보관 가능

심한 출혈이 있는 환자, 즉 총 혈액량의 25% 이상 되는 출혈이 지속되어 쇼크에 빠질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는 전혈을 수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혈은 산소 운반능력과 혈액량 확장이 동시에 요구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적은 출혈 또는 만성 빈혈 환자에게 주입 속도가 빠르게 전혈을 수혈하면 혈액량 과부하를 초래하여 폐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4시간 이상 저장된 전혈에는 생존 가능한 혈소판과 백혈구가 거의 없으며 Fator V와 VIII의 농도도 저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혈소판과 백혈구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혈소판 또는 백혈구 제제를 수혈해야 하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을 수혈해야 합니다.


 

 

농축적혈구(Packed RBC)

전혈에서 혈장성분을 제외한 혈 150-200ml/unit, CPDA-1 항응고제 함유, 1-6'C 냉장보관, 35일 보관 가능

적혈구는 산소 운반능력 부족의 증상을 보이는 만성 빈혈 환자 및 수술 또는 외상에 의해 총 혈액량의 15%이상의 출혈이 있는 환자의 치료에 이용됩니다. 신부전이나 악성종양 등 만성 빈혈 환자들은 혈액량이 정상이므로 전혈을 수혈하면 혈액량 과부하의 위험이 있습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8g/dl이상인 경우에는 적혈구 수혈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이나 외상에 의한 총혈액량의 15% 미만의 출혈 시에는 대부분 적혈구 수혈이 불필요합니다.


 

 

농축혈소판(Platelet concentration)

0-24'C 에서 5일간 보관 가능(agitator에 보관)

- random doner : 전혈에서 혈소판만 분리, 1회 6-8 unit 수혈

-single donor : 한 명의 공여자에게서 혈소판 성분만 채칩, 동종 면역의 기회와 수혈 전파성 감염의 기회를 감소시킴

혈소판제제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혈소판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지혈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백혈병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제 치료, 악성종양의 골수 침범, 원발성 골수형성부전증 등으로 인하여 혈소판수가 20,000/ul이하로 감소된 환자들에게 주로 적응됩니다.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전혈 채혈 후 6시간 이내에 분리하여 냉동시킨 혈액응고인자 160ml/unit, 해동후 2시간 이내에 사용, 녹인 후는 1-6'C에서 보관, 영하 18'C에서 1년간 보관 가능

파종성혈관내응고증, 중증 간질환, 쿠마딘계 항응고제 사용 시 출혈, 선천적 응고인자 결핍증, 유전성 응고 억제제 결핍증, 희석성 응고장애, 혈전성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용혈성요독성증후군, 비타민K결핍증, 출혈량을 예측할 수 없는 출혈로서 응급으로 혈액응고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사용됩니다.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

FFP 1unit을 4도에서 녹여서 제조 혈액응고인자 VIII, XIII 및 fibrinogen이 함유, 영하 18도 이하 동결상태에서 1년간 보관 가능, 녹인후 실온에서 6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으나 1시간 내에 수혈을 권장함

A형 혈우병, 폰빌레브란트병, 선천성 혹은 후천성 섬유소원 결핍증, 제 XIII 인자 결핍증, 산과적 합병증 또는 파종성혈관내응고증 등 섬유소원의 소모와 관계된 질환들에 사용됩니다.


 

 

백혈구제거혈액제제

발열성 수혈부작용의 예방, HLA 동종 면역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CMV 등 바이러스 감염 예방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고 있는 장기이식 환자 또는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등에게 적용한다.

 

4. 수행절차

1)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사용한다.

2) 혈액은행에서 가져온 혈액과 대상자를 확인한다. (의료인 2인 이상이 교차 확인을 해야 하며, 수혈 시작과 혈액백 교환 시마다 대상자의 이름, 혈액형(AB0&RH), 혈액 번호, 방사선 조사 유무, 수혈 팔찌 유무를 확인한다)

3) 수혈하려는 혈액의 무게를 측정 또는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수혈의 목적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5) N/S 100ml fluid에 혈액필터가 달린 수혈 세트를 연결하여 18G medicut으로 line을 확보한다.

6) 확보된 정맥으로 수혈 전처치로 항히스타민제(페니,덱사)를 투여한다.

7) 수혈 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8) dropping중인 N/S 100ml를 제거하고 혈액백을 connect 한다. chamber의 2/3까지 혈액을 채운 뒤 높게 걸어준다.

9) 처음 15분간은 10~20 gtt/min 정도의 속도로 주입하면서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용혈 반응, 고열, 알레르기 반응 등과 같은 수혈부작용을 관찰)

10) 15분 후 활력징후를 확인하여 기록한 후 대상자의 상태가 이상 없으면 주입 속도를 20~40 gtt/min 올린다.(수혈 중에는 생리식염수를 제외한 다른 약제와는 병용 투여하지 않는다)

11) 수혈 기록지에 다음 사항을 기록한다 : 시작 및 마침 시간과 간호사의 서명, 본인 확인 혈액형, 수혈 전과 15분 후의 활력징후, 방사선 조사 유무, 입회 의료인 연서, 수혈 팔찌 부착 유무 등

12) 수혈이 끝나면 생리식염수를 잰 주사기로 혈관이 막히지 않도록 관류한다.

13) 부작용 유무와 마침 시간 및 간호사 서명, 수혈이 끝난 후의 활력징후를 기록하고 혈액백은 감염성 폐기물 박스에 버린 후 손을 씻는다.

 

 

댓글